-
분양받은 아파트도 입주 전 하자확인 하듯이 리모델링된 아파트도 하자 점검을 꼭 해야 합니다. 하지만 살면서 리모델링을 몇 번이나 할까요? 많아야 2번입니다.
새집에 입주하는 것은 여러 번 할 수도 있지만 리모델링은 경험하기 쉽지 않습니다.
2번 리모델링을 하면서 처음에 알았다면 좋았을 내용을 정리 했습니다. 하자는 빨리 발견할수록 바로 수리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1. 도배
도배는 마감을 잘 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천장, 몰딩사이, 벽에 찍어짐, 오염 등이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도배를 한 당일은 살짝 울툴불퉁(운다고 표현)한 곳이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도배풀이 굳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배 3일 정도 후에 속지가 마르며, 도배지가 팽팽해지고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배가 팽팽해 지면 도배가 천장, 가구, 걸레받이 등에 잘 붙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간혹 떨어지는 경우 또는 삐뚤 하게 도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꼼꼼히 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실크일 경우 벽과 벽사이, 바닥과 벽사이, 코너 부분을 잘 보면 본드가 묻어 있거나, 찟어진 곳이 있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2. 장판(강마루)
2.1 들뜸 확인(시공 후 일주일 후 직접 밝아 보고, 한달 후 다시 밟아 보기)
장판은 일반 장판일 경우 틈새 이음, 오염물이 있는지 확인 합니다.확인합니다. 만약 강마루 또는 강화마루라면 전체 바닥을 밟아 가면서 바닥에 잘 붙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바닥 중간에 뜬 곳이 있다면 바로 하자를 요청해야 합니다.
강마루가 뜬다는 것은 처음 시공을 할 때 먼지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번 뜨기 시작하면 여러 군데 뜰 수가 있고, 이때 바닥을 걸어 다니면서 밟으면 삐걱하는 소리가 납니다. 이 소리가 나는지 방바닥 전체를 확인해야 합니다.
32평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 시스템 에어컨 설치 후기
20년 된 아파트를 매수하고 리모델링할 때 가장 고민이 되는 것이 시스템 에어컨입니다. 최근 아파트는 대부분 시스템 에어컨이 포함되어 있지만 구축 아파트는 없기 때문입니다. 또 큰 돈을 들
jayouda.tistory.com
2.2 싱크대, 붙박이장 바닥 확인 하기
강마루의 경우 수평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구축 아파트의 경우 기존 바닥을 제거하고 강마루 시공을 하게 됩니다. 이때 기존 바닥을 제거하고 수평을 잘 확인한 후, 그 자리는 수평을 맞추고 시공해야 합니다.
만약 수평을 마추지 않고 시공을 하게 되면 아래 사진과 같이 평평하지 않게 강마루가 시공될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하자를 늦게 발견할 경우 사실 바닥을 다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사전에 가급적 평평하게 작업을 해달라고 요청해야 합니다.
만약 사진과 같이 하자가 발견 된다면 클레임을 걸고 비용을 덜 주든, 시공업체에서 다시 시공을 하던 결정 해야 합니다.
2.3 바닥 두드려 보기
쉬운 방법은 아니지만 쇠젖가락으로 바닥을 처 보면 본드가 잘 부착된 곳와 그렇지 못한 곳의 소리가 다릅니다. 따라서 통통통 공간이 뜬 소리가 난다면 표시해 두었다가 하자 수리를 해야 합니다. 하자 부위는 포스트 잇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화장실
3.1 실리콘 확인
화장실에서 유심히 봐야 할 곳은 실리콘을 쏜 부위 입니다. 변기, 세면대 등에 실리콘을 쏘지 않으면 물이 튀거나 오랜 시간 사용하다 보면 습기가 들어가 곰팡이가 발생합니다.
시공 업체들은 실리콘 비용도 줄이려고 하기 때문에, 수납장, 세면대, 거울 아래 다이 등에 실리콘을 안 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화장실에 도기, 수납장 등에 실리콘을 모두 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블라인드 셀프 베란다 설치 방법(사이즈 선택 꿀팁 포함)
아파트에 살면서 생각 외로 신경이 많이 쓰이는 곳이 베란다입니다. 특히 밤이 되면 맞은편 아파트에서 우리 집 거실이 잘 보이기 때문입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블라인드를 셀프로 설
jayouda.tistory.com
3.1 청소용 수전 확인
요즘 아파트의 화장실 리모델링하면 변기 뒤쪽에 청소용 수도꼭지를 빼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이 청소용 수도 꼭지를 변기 주변에 달게 되는데, 줄이 길어 바닥에 놓게 될 경우 그 부위의 줄에 녹이 슬거나, 물이 고일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변기 주변에 청소용 수전을 만들어 놓을 경우 가급적 쇠줄보다는 꼬여있는 스프링 코일호스를 사용하는 수전을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쇠줄로 된 수전은 길이가 길어 바닥에 닿게 되어 보기도 안 좋고, 사용하는데 불편합니다.
3.2 수건걸이 높이 확인
수건걸이는 높이는 너무 높게 다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장실 바닥에서 1m 60cm 정도 띄우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시공이 잘못될 경우 2m 높이에 수건걸이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꼭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건 건이는 성인이 섰을 때 가슴부위 정도에 오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높게 설치될 경우 아이들이 사용할 때도 불편합니다.
로봇청소기 물걸레 기능 필요성 및 장단점(내돈내산) 사용 꿀팁
로봇청소기는 3대 이모님 중 하나로 불릴만큼 필수 가전이 되었다. 5년 전 처음 로봇청소기를 구매했을 때, 청소만 가능했지만 요즘은 물걸레 기능(걸레 자동 세척까지 가능)이 지원되어 편리하
jayouda.tistory.com
3.3 타일 및 줄눈
타일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백시멘트 입니다. 타일 시공 후 타일과 타일 사이에 메지를 넣어 고정 합니다. 이때 매지를 넓게 펴서 바르기 때문에 화장실 벽에 하얗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건 정상 시공이 아닙니다.
통상 화장실 타일을 시공한 다음, 입주 청소 할 때 청소하면 된다고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백시멘트는 1일이 니나면 벽에 달라 붙어 굳기 때문에 청소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타일 시공 후 당일 꼭 백시멘트를 지워달라고 이야기 해야 합니다.
별도 청소 업체로 문의해서 지울 경우 30만원 정도의 청소 비용이 발생 하고, 화학약품을 사용해 벽의 백시멘트를 녹여야 하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지 않습니다. 꼼꼼하게 백시멘트 까지 지워달라고 이야기 해야 합니다.
줄눈은 시공 후 빠진 부분이 없는지 확인 합니다. 특히 변기 뒤쪽, 보이지 않는 곳은 줄눈을 쐈는지 꼭 화인해야 합니다.
4. 문
4.1 현관 중문
중문은 아파트 리모델링 시 빠지지 않습니다. 잘 보셔야 할 부분이 오토 클로져 기능이 있는 제품을 구매해야 합니다. 간혹 원가 절감을 위해서 오토클로저 기능이 없는 중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생각 보다 문을 닫는 소리가 쿵 하고 나기 때문에 신경이 많이 씁니다. 따라서 문을 주문할 때는 오토 클로저, 댐퍼 등이 있는 중문을 선택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파트의 경우 보통 3 연동 중문을 선호하기 때문에 문 위쪽을 보면 댐퍼가 보입니다. 만약 댐퍼가 없다면 다시 설치를 해서라도 달아야 합니다. 하루에도 중문을 여러 번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4.2 베란다로 나가는 문
기존에 집의 문이 앞뒤로 여는 일반적인 문을 교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좌우로 밀면 공간의 효율성도 좋기 때문입니다. 이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람입니다. 일반 문을 달면 바람을 막을 수 있지만 2 연동문을 설치한다면 바람이 숭숭 들어와 겨울에는 방의 온도가 쉽게 내려갑니다.
따라서 베란다로 나가는 문, 주방에서 베란다고 나가는 문을 좌우로 미는 2 연동 중문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바람을 잘 막을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목공을 하는 분들은 나무만 이용해서 문만 달기 때문에 꼼꼼히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베란다 상추 모종 심기 및 물 주는 방법 (1) 2024.04.14 아파트 베란다 상추 심고 키우기(가성비 꿀팁) (2) 2024.03.04 블라인드 셀프 베란다 설치 방법(사이즈 선택 꿀팁 포함) (1) 2023.10.30 네이버 블로그 체험단 선정 잘 되는 8가지 방법 (2) 2023.10.02 아파트 리모델링 반셀프 턴키 장단점 및 선택 방법 (0) 202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