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중요한 것은 시작하는 것입니다. 시작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 큰 꿈을 가지고 새해를 시작 했지만 고민만 하다가 벌써 5개월이 지나갔습니다. 평범한 나도 내 힘으로 돈을 벌수 있고, 특별한 사람이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돈을 벌기 때문에 특별해 진다는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지난 시간 동안 매일 매일 돈을 벌고 싶다는 생각으로 여기저기 인터넷과 유튜브를 찾아보다 몇 년이 지났고 나이 40이 되면서 내린 결론은 이제 고민 그만하고 실행하자 입니다. 좋은 아이템이 있으면 바로 사업자를 내고 시작할 생각으로 아이템 고민만 했지만 변한건 없었습니다. 지금 뒤돌아 보면 좋은 아이템을 찾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좋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기반도 없고 아이템을 얻어도 판매할 수 있는 능력과 경험이 없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면 지금 당장 사업자를 내고 무엇이라도 팔아 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처음에 막막했습니다. 그 막막함으로 몇 년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고민은 그만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제가 실행한 내용을 5편의 글로 작성하려고 합니다. 이 글은 돈을 버는 방법이 아니라 돈을 벌기위해 필요한 기본을 정리한 글입니다. 돈을 벌기위해서 아주 기본이 되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국세청 홈텍스 사업자 등록
사업자 등록은 돈 벌기 위한 기본 서류입니다. 온라인 사업자 등록은 별도의 서류 없이 국세청 홈텍스(바로가기)바로 신청 할 수 있고 신청 후 24시간 안에 승인이 납니다.
사업자를 내기 전 가장 고민하는 부분은 사업장의 임차입니다. 온라인 사업의 경우 자신이 거주하는 곳이 월세, 전세, 자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몇 년전만 해도 월세, 전셋의 경우 집주인과의 별도의 계약이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도 있고 블로그도 많았습니다. 주거 목적으로 집을 빌렸기 때문에 사업은 안되다는 글을 많이 봤습니다. 따라서 사업자등록을 하기위해 집주인과 별도의 계약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직접 해보니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컴퓨터만 있으면 사업자 등록이 가능했습니다.
사업자 등록은 국세청 홈텍스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지역의 세무서를 방문하여 신청도 가능합니다. 요즘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사업자 등록을 하고 있습니다.
사업자를 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사업자 등록은 돈을 벌기위한 100가지 단계중 1단계에 불과할 정도로 아주 기본입니다. 앞으로 해야 하는 다양한 일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사업자 등록을 신청하면 국세청 홈텍스에서 민원접수 완료라는 문자가 옵니다. 그리고 민원신청 완료라는 문자가 왔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사업자를 내는 것이 어렇게 간단한 것인지 처음 느껴 봅니다. 대단한 사람들이나 사업자 등록하는줄 알았습니다.
국세청 홈텍스 사업자등록 화면 2022.05.07 - 특허로 상표권 등록방법(경제적 자유 2편)
특허로 상표권 등록방법(경제적 자유 2편)
1. 처음 일수록 상표권 등록 필요 상표권은 제품과 서비스에 부여되는 권리입니다. 1개의 제품에 1개의 상표권만 등록 할 수 있습니다. 어떤 회사가 100개의 서로 다른 제품을 생산한다면 100개 모
jayouda.tistory.com
2. 간이와 일반
사업자 등록을 신청하면서 과세유형을 간이와 일반중 어떤 것으로 선택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간이과 일반의 차이는 매출액입니다. 년간 매출액이 8,000만원 이하면 간이과세자이고 이상이면 일반 과제자입니다.
매출액에서 알 수 있드시 간이가세자는 매출이 적고 영세하다는 판단하에 몇가지 혜택이 있습니다. 부가세 신고도 일반은 1년에 2번(1월, 7월)이지만 간이과세자는 1년에 1번입니다. 부가세도 간이과세가 저렴합니다. 그래서 많은 유튜버나 블로그에서 처음 사업을 시작할 때 간이과세자로 신청을 하라고 합니다. 부업 구모로 시작하는 것이도 매출이 어느정도 나올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상에는 유리한 것도 불리한 것도 없습니다. 처음부터 꿈을 크게 가지고 시작해야지 부업으로 하다가 안되면 접겠다는 생각이나 또는 초보가 년매출 8,000만원은 어려울거야 라는 쫄보마인드로 접근하시면 안됩니다. 아무리 작게 시작을 해도 사업은 사업입니다. 또 세상은 경쟁사회이고 리스크 만큼 더 큰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영세한 사업자에게 지원되는 작은 이유에 고민하지 마시고 일반과세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한 예로 간이과세 사업자라고 하면 물건을 소싱하거나 큰돈을 처리할 때 불리합니다. 물건을 파는 사람 입장에서는 매출액을 잡기 위해서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데 간이과세자에게 세금계산서를 요청하여 발급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간이과세로 신청을 하면 결국 도매꾹 같은 위탁으로 밤샘 경쟁을 하다가 마음에 상처를 받고 사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도 사업이라는건 기회가 어떻게 올지 모릅니다. 공급사 입장에서보면 간이사업자보다 일반사업자도 많은데 이왕이면 좋은 조건으로 일반사업자를 선택할 확률이 큽니다. 이때 기회를 잡기위해서는 간이보다는 일반과세가 유리합니다. 사업을 시작하려고 했다면 쫄지 마시고 일반과세로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간이과세가 유리한 경우 간이과세로 신청을 하면 좋지만 사업을 크게 키우려고 한다면 과감하게 일반과세로 신청하시는게 좋습니다. 필자도 처음 사업을 하면서 이런 저런 고민을 하다고 일반과세로 바로 신청을 했고 마음속으로 올해 1억 이상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2022.05.08 - 초보자 상품 소싱 방법(경제적 자유 3편)
초보자 상품 소싱 방법(경제적 자유 3편)
1. 하루아침에 돈 버는 물건은 없다. 세상에는 너무 많은 물건이 있고 이 중에서 어떤 물건을 팔아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마음같아서는 잘 나가는 제품을 찾아서 얼른 돈을 벌고 싶지만 그런 경
jayouda.tistory.com
3. 사업장(단체) 소재지 선택
주소지 동일 여부는 여로 체크합니다. 집에서 온라인 사업을 할 경우 거주하고 있는(주민등록상)집이 있기 때문에 여를 체크합니다. 그럼 회원가입한 주소가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왜냐하면 주민등록상 거주하고 있는 곳과 사업장이 같기 때문입니다.
전셋집, 월세집이라도 사업장을 낼 수 있습니다. 집주인 동의서 또는 전세 및 월세 계약서 등은 필요 없습니다. 주민등록상 살고 있는 주소지로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제조업 등의 경우 공장, 창고 등 실제 사업을 영위할 장소가 있어야 하지만 온라인 사업의 경우 사업장을 집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업장 소재지 여 부 4. 업종코드 및 업태
업종은 온라인을 통한 판매이므로 도매 및 소매업코드인 525101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오픈마켓에서 판매를 할 계획이라면 525101을 입력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업종은 전자상거래 소매업으로 입력이 됩니다. 스마트스토어 사업을 하실분들은 꼭 525101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쇼핑몰 업종 선택 및 업종 코드 5. 개업일
개업일은 아무 날짜를 기재하면 됩니다. 개업일 이후부터 사업을 해도 되고 사업자을 시작하고 있어도 사업자를 낼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 너무 늦게 사업자를 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2.05.09 - 통신 판매업 인터넷 신청 및 쿠팡 입점 방법(경제적 자유 5편)
통신 판매업 인터넷 신청 및 쿠팡 입점 방법(경제적 자유 5편)
1. 통신판매업 신고 누가 해야 할까? 통신판매업 신고는 온라인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 할 경우 신청을 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인터넷 쇼핑, 블로그, 카페 등 플랫폼을 통해 판매를 할
jayouda.tistory.com
6. 사업자 등록 신청 확인 및 팆
사업자 등록 신청 후 My홈텍스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다만 홈텍스의 경우 민원 조회일이 최대 7일입니다. 많은 업무를 처리하면 언제, 어떤 일을 처리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7일 단위로 계속 조회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민원신청 화면을 캡쳐해 놓으면 편리하게 내가 어떤 일을 언제 했는지 빠르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텍스 민원 조회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 상품 소싱 방법(경제적 자유 3편) (0) 2022.05.08 특허로 상표권 등록방법(경제적 자유 2편) (0) 2022.05.07 아이폰 070 스팸 전화 차단 방법(스팸 패턴 차단 앱 사용법) (0) 2022.03.20 노션(NOTION) vs 에버노트(Evernote) 비교 노트 앱(업무 생산성 향상) (0) 2022.02.27 한글 워드 파워포인트 PDF 저장 방법(PDF에 2장 만드는 방법) (0) 2022.02.27